산행·트레킹/백두대간

하얀손의 백두대간 산행일지

팔십령 2010. 1. 25. 01:21

 

(Intro)

 

 백두대간은 나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준다.

 힘든 시간을 보낼 때 나를 편하게 안아주었던,

 그리고 일상에 대해 좀더 여유롭게 바라보고

 내려놓을 수 있게 도와주었던 산..

 

 

 홀로 깊은 산을 타다보면 지독히 외롭다고 느껴질

 때도 있지만 온전히 혼자만이 되어 자기 자신을

 바라볼 수 있다는 행복한 경험도 있다. 

 

 

 무엇보다 대간을 타고나서 내가 얻은 가장 큰

 선물은 "범사에 감사해야 한다"는 점이다.

 

 

 두다리 멀쩡하게 건강한 몸으로 우리의 아름다운

 산하를 돌아볼 수 있다는 것 그것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감사하고 또 감사해야 한다. 

 

 

 작은 이기심과 교만을 버려야 한다는 생각도 한다.

 내가 받은 만큼 돌려주어야 한다는 점도

 생각한다. 앞으로 남은 삶의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마지막 구간을 탄지도 1년이 훌쩍 지나갔다.

 늦었지만 그래도 기록을 남겨 놓기로 했다.

 한동안 종주산행을 할 생각은 없지만

 언젠가는 다시 해야 하기에... 

 

 

 대간 탈 때 가장 보기 좋았던 것은 노부부가

 함께 산을 타는 모습이었다나도 언젠가는

 그렇게 아름다운 시간들을 보낼 수 있겠지...

 

 

 그럴려면 두사람 모두 건강해야 겠지  *^^*  

 

 

 

 

 (백두대간 산행개요)

 

 ㅇ 기간 : 2009 2 23~2009 11 14

 

 ㅇ 산행일수 : 34 (15)

 

      2월(2/1), 3(1/1), 4(4/2),

      5월(6/2), 8(5/2), 9(3/1),

      10월(9/4), 11(4/2)  

 

 

 

ㅇ 백두대간 종주는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나홀로'산행일 경우는 사전 등로 확인과

    숙박 및 교통편에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체력단력 및

    자신에게 맞는 일정계획이 필요하다.

 

 

 

 

ㅇ 백두대간 타는 마음가짐....

 

 

    백두대간은 지리산에서 강원도 진부령까지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대간 타는게 또 하나의 일이 되기 싶다.

 

 

    마음을 편하게 먹고 여유롭게 타는 자세가 필요.

    나의 경우는 소위 순차적 개념 보다는 상황에 맞게

    내가 타고 싶은 구간을 우선 탓다.

 

 

    예를 들어 소백산구간은 철쭉이 좋은 5월말에,

    오대산 구간은 진드기를 피해 10월 이후로

    산방기간 지리산이 막혀 첫 시작을 덕유에서 했다.

 

 

    처음에는 구간거리를 짧게 잡아야 한다든지 무엇보다

    안전한 산행이 우선이다. 그리고 산에 메이지 말고

    즐겨야 한다는 점....

 

 

    어쩔 수 없다. 시행착오를 통해 자신만의 방식을

    터득하듯이 일단은 용기있게 부딛혀야 한다. 

  

 

    

 

(하얀손의 백두대간 종주일정)

 

1구간 : 천왕봉~연하천 (17.5km)           5       5/5

 

 

2구간 : 연하천~고기리 (27.7km)                     5/6

 

 

3구간 : 고기리~유치삼거리 (17km)                  5/7

 

 

4구간 : 유치삼거리~중재 (18.8km)         3       4/11

 

 

5구간 : 중재~육십령 (18.0km)              2        3/28

 

 

6구간 : 육십령~백암봉 (18.0km)           1     2/23~2/24

 

 

7구간 : 백암봉~빼재 (10km)              15       11/14

 

 

8구간 : 빼재~부항령 (18.8km)             4        4/23

 

 

9구간 : 부항령~우두령 (17.0km)                     4/24

 

 

10구간 : 우두령~추풍령 (20.7km)                    4/25

 

 

11구간 : 추풍령~지기재 (36.0km)         13      10/30

 

 

12구간 : 지기재~비재 (21.5km)                      10/31

 

 

13구간 : 비재~늘재 (21.9km)               8       8/25 (南進)

 

 

14구간 : 늘재~버리기미재 (18.0km)                 8/24 (南進)

 

 

15구간 : 버리기미재~이화령 (32.0km)    12      10/25

 

 

16구간 : 이화령~하늘재 (18.4km)                    10/26

 

 

17구간 : 하늘재~벌재 (24.5km)            11      10/13

 

 

18구간 : 벌재~죽령 (23.2km)                         10/14

 

 

19구간 : 죽령~고치령 (22.4km)             6       5/22

 

 

20구간 : 고치령~도래기재 (24.2km)                  5/23

 

 

21구간 : 도래기재~화방재 (24.3km)                  5/24

 

 

22구간 : 화방재~피재 (19.1km)             7       8/13

 

 

23구간 : 피재~댓재 (23.0km)                          8/14

 

 

24구간 : 댓재~백복령 (26.8km)                       8/15

 

 

25구간 : 백복령~닭목령 (30.5km)           14     11/6

 

 

26구간 : 닭목령~대관령 (12.1km)                     11/7

 

 

27구간 : 대관령~진고개 (24.2km)                    11/5 (南進)

 

 

28구간 : 진고개~구룡령 (22.5km)           10     10/5

 

 

29구간 : 구룡령~조침령 (20.4km)                     10/6

 

 

30구간 : 조침령~한계령 (19.4km)                     10/7

 

 

31구간 : 한계령~미시령 (21.0km)           9   9/11~9/12

 

 

32구간 : 미시령~진부령 (13.8km)                    9/13

 

 

33구간 : 진부령~향로봉 (13.2km)             ?          ?